[ 그로스마케터 되기- 8 ] 그로스마케터가 알아야 할 마케팅용어
🙋♀️
앞 서 현직자 분들의 인터뷰에서 볼 수 있듯이
그로스마인드는 우리 삶 전체에 적용해야할 것 입니다 :)
기본적인 마케팅용어를 정리해볼게요.
🟪 OKR
Objecctive (목표) + Key Result (핵심결과)
O [우리회사의 목표]
KR [측정가능한 성과지표, 방법, 정량적 결과 ]
목표와 결과는 측청가능해야하고, 유연해야한다.
🟪 KPI (Key Performance Indicator)
"핵심성과지표"
기업의 목표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측정지표
목표에 따라 KPI는 바뀌게 된다.
🟪 AARRR
서비스나 제품의 현주소를 파악하고,
부족한 단계를 확인 후 개선전략을 세우는 Framework
고객 유치(Acquisition) / 잠재고객, 신규고객을 어떻게 유치하는가?
활성화(Activation) / 고객이 우리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는가?
유지(Retention) / 첫 구매 이후 서비스 재사용률은 어떻게 되는가?
수익화(Revenue) / 고객이 우리 서비스에 금액을 지불하는가?
추천(Referral) / 고객이 자발적으로 주변에 공유나 바이럴을 일으키는가?
🟪 Lean (린)
핵심적인 내용으로 고객의 요구나 트렌드에 맞추기위해
모든 과정을 가설기반으로 측정하고, 피드백을 받고,
지속적으로 프로덕트를 개선하여 불필요한 과정과 낭비를 줄인다.
🟪 Agile (애자일)
1-4주의 짧은 주기로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것으로
고객에게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고, 고객이 참여하여
제품과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것
🟪 Sprint (스프린트)
수개월이 소요되는 작업을 5일만에 마치는 방법.
최소한의 시간으로 최상의 결과를 얻도록 조정된 최적의 프로세스
아이디어 -> 스케치 -> 솔루션 -> 프로토타입핑 -> 고객테스트
🟪 스크럼
스프린트를 끊임없이 회전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업데이트를 하는 과정
정해진 기간에 따라 우리 팀이 집중해서 일하는 기간!
🟪 칸반보드
to do list를 우선순위나 카테고리에 따라 나눠서 시각화 한 보드
실시간으로 업무 파악이 가능하고,
워크플로우를 한 눈에 볼 수 있고,
지속적으로 개선 할 수 있다.
🟪 MVP (Minimum Viable Product)
가설을 수립한 후 문제해결에 핵심이 되는 최소한의 요소를 담아
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으로
최소한의 투자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.
핵심 가설만 검증하고, 심플하고 직관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.
🟪 PMF (Product Market Fit)
"좋은 시장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갖고 있는 것"
MVP를 통해 핵심 가설 검 증 후 시장에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맞춤.